겨울철 자동차 세차, 어떤 날씨에 해야 할까?
겨울철 추위가 쉽게 가시지 않은 요즘, 언제 세차를 해야 할지 고민이 되실 겁니다. 차 위에 눈이 쌓이고 녹으면 한순간에 눈 자국과 먼지 얼룩에 뒤덮여 더러웠는데, 세차를 하는 것은 다른 계절보다 더 어려우니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막상 세차를 하러 나가도 영하의 추운 날씨로 인해 야외 세차장은 대부분 문이 닫는 경우가 많고, 셀프 세차장도 영업을 안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내 세차장을 가려고 해도 우리가 여유로운 시간대에는 사람들이 몰리기 때문에 긴 시간을 대기해야 하는 경우도 자주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세차를 미처 하지 못하고 더러운 상태로 돌아다니는 차들을 흔하게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겨울철 세차는 꼭 신경 써서 해줄 필요가 있습니다. 도로 위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해 염화칼슘이 많이 뿌려지는데, 차에 묻은 염화칼슘을 제 때에 씻어주지 않으면 자동차 부품이 부식될 위험이 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눈이 많이 온 뒤에는 반드시 세차를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스크래치 방지를 위해서 실내 세차장과 온수 사용
겨울철에는 외부 세차장보다 실내 세차장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외부 세차장들 중 일부는 따듯한 온수를 제공해 주는 곳이 있습니다. 그러나, 따듯한 온수를 사용한다고 할지라도, 영하 10도까지 가는 강추위 속에서는 차량의 도장면이 얼음으로 뒤덮이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세차에는 고압 호스가 사용됩니다. 고압 호스를 통해 뿜어져 나오는 고압수는 강한 압력을 이용해 오염 물질을 씻어냅니다. 그러나, 고압수는 작은 물방울 형태로 분사되기 때문에 낮은 온도에서 매우 빠른 속도로 얼어붙기 쉽습니다. 이렇게 얼음 막이 형성된 상태에서 드라잉을 위해 표면을 닦아낸다거나, 왁스질을 하게 된다면 얼음으로 인해 스크래치가 생기면서 광택을 잃어버리기 쉽습니다. 오히려 이런 경우는 세차를 안 하는 것이 더 좋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가능한 실내 세차장을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만약, 여러분이 사는 지역 주변에 외부 세차장 밖에 없다면, 가능한 영하 3도 이상의 날씨에서 세차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따듯한 온수가 나온다는 가정하게 말씀드린 것이고, 차가운 물만 나온다면 7도 이상의 날씨에서만 세차를 하시기 바랍니다. 세차가 끝나면, 물기를 빠르게 제거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때, 드라잉 타월을 사용하는데 처음부터 도장면을 닦으면 스크래치가 생길 수 있으므로, 윈드실드부터 닦아주는 게 좋습니다. 윈드 쉴드 위에 타월을 올려 어느 정도 물기를 머금게 하고, 유리를 닦아내면 스크래치도 안 내면서 깨끗하게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물기가 다 닦아졌다면, 왁스질을 통해 광택을 유지해 주시기 바랍니다. 전체적으로 스펀지로 왁스를 발라주고, 두꺼운 버핑 타월로 닦아주면 됩니다. 만약, 왁스를 사용하기 어렵다면, 퀵 디테일러를 뿌려서 광택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예전에는 퀵 디테일러를 물왁스라고 불렀습니다. 한 포인트 당 3번 정도 뿌려주고 왁스와 동일한 방식으로 닦아주면 됩니다. 물론, 왁스에도 카나우바왁스, 실란트, 하이브리드왁스, 퀵 디테일러 등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여기서는 따로 설명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차량 부식을 막기 위해 하부 세차는 선택이 아닌 필수
겨울철에는 반드시 차량의 하부 세차를 해줘야 합니다. 여름철에 바닷가를 다녀오면 차량 하부 세차를 해야 한다는 정도는 대부분 잘 아시는 사실입니다. 겨울철에는 제설 과정에서 많은 양의 염화칼슘이 바닥에 뿌려집니다. 염화칼슘은 산성 성분이기 때문에 차량을 녹슬게 합니다. 일부 실내 세차장의 경우에는 하부세차 시스템을 별도로 갖추고 있기에 크게 어렵지 않게 세차를 할 수 있습니다. 만약,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하부세차를 위한 전용 호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세차장에 가면 'ㄱ' 형태의 고압 호스를 볼 수 있는데, 차량 하부에 해당 호스를 넣어 물을 뿌려서 세차를 할 수 있습니다. 하부뿐만 아니라, 자동차 타이어 휠이나 휠하우스 주변부도 깨끗하게 씻어주시기 바랍니다. 만약 여러분의 차량이 전기차라고 할지라도 하부세차는 반드시 해주시기 바랍니다. 물론, 전기 배터리가 차량 하부에 넓게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무리해서 씻어내는 것은 좋지 않지만, 전선이 노출된 곳만 신경 써서 세차를 해준다면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쾌적한 운전을 위해 주기적인 실내 세차도 필수
우리가 바쁜 일상 속에서 세차를 하다 보면, 실내 세차는 자주 하지 않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실내는 우리가 실제로 운전 중에 우리와 가장 가까이에 접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신경 써서 관리해주어야 합니다. 세차장에 가면 청소기나 컴프레셔가 있습니다. 자동차 바닥 매트에 있는 먼지를 전체적으로 제거해주어야 합니다. 매트를 더 깨끗하게 사용하고 싶으시다면, 세차장에 있는 매트 세척기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실내 세차 시에는 먼지가 많이 날리기 때문에 모든 문을 개방한 상태에서 하는 게 좋습니다. 바닥 청소가 끝나면, 다음으로는 에어컨 주변부를 청소해 줍니다. 마지막으로 차량 시트를 청소해 줍니다. 가볍게 물티슈로 닦아주는 방법도 있지만, 차량 시트의 재질에 따라 적절한 방법으로 청소를 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가죽도 천연가죽이나 인조가족 등 여러 종류가 있기 때문에 각 시트에 맞는 적절한 세척과 코팅 방법으로 세차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가죽 관리제 같은 세차 용품을 이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극세사로 된 타월을 이용해 관리해 주면 가죽 관리제가 뭉쳐서 생길 수 있는 자국을 미리 예방할 수 있습니다. 스팀 기기가 있다면, 시트 내부의 묵은 때까지도 지울 수 있기 때문에 더 좋습니다. 다만, 초보자가 하기에는 쉽지 않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전문 세차 업체에게 맞기는 것이 더 좋습니다. 오늘 알려드린 올바른 겨울철 세차 방법을 통해서 여러분의 차량을 깨끗하고 쾌적하게 유지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자동차 매거진 > 자동차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수입차 브랜드 역사 비교, 독일 대표 3사 벤츠/BMW/아우디 (0) | 2023.01.26 |
---|---|
자동차 명의변경 쉽게 하는 방법과 비용, 필요한 필수 서류 (0) | 2023.01.25 |
자동차 장거리 운전, 필수 사전 점검 사항 체크리스트 (0) | 2023.01.24 |
겨울철 도로 위의 저승사자, 블랙아이스 원인과 예방 및 대처법 (0) | 2023.01.23 |
자동차 교통사고 발생 시 빠른 대처법, 당황하지 않는 매뉴얼 (0) | 2023.01.23 |
댓글